유엔총회 제3위원회에 발의된 북한 인권결의안에는 코로나19 이후 악화된 북한 인권 상황이 추가로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을 이유로 국경을 오가는 주민을 총살하는 등 코로나를 통제 강화 수단으로 이용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주유엔 영국 대사관 : 북한의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주민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도구로 이용돼선 안 됩니다.]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결의안 제안에 4년 만에 동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의안에는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사건 관련 내용도 추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결의안은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과 러시아, 시리아, 니카라과 등은 북한에 대한 내정 간섭이라며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주유엔 중국 대사관 : 인권이라는 구실을 이용한 북한 내정에 대한 간섭 시도로 중국은 깊은 우려를 표시합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은 결의안이 정치적 책략이라며 되레 남한의 이태원 참사를 걸고 넘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남한 정부가 안팎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 북한 인권문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성 / 주유엔 북한 대사 : 남한은 내치 능력 부족으로 인한 인재인 전례 없는 압사 사고를 촉발했습니다.] <br /> <br />우리 정부도 가만있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로 전 세계가 위로를 전하는 중에도 북한은 미사일 도발을 이어갔다며, 북한 대사의 발언이야말로 북한의 인권경시를 보여준다고 맞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배종인 / 주유엔 한국 차석 대사 :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비극에 대한 북한의 터무니없는 발언은 북한의 인권 경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인권결의안은 다음 달 유엔 총회 본회의에 상정돼 193개 회원국의 다수결에 부쳐질 예정이어서 무난하게 18년 연속 채택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1716245705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